http://maskofz.com/ 🏥 '중증외상센터' 백강혁의 병원 내 서열, 의과대학 졸업 후 대학병원 '과장'까지 걸리는 시간
본문 바로가기
카테고리 없음

🏥 '중증외상센터' 백강혁의 병원 내 서열, 의과대학 졸업 후 대학병원 '과장'까지 걸리는 시간

by maskofz 2025. 2. 21.
반응형

현재 방영 중인 '중증외상센터'에서 주인공 백강혁(주지훈 분)은 대학병원 내 중증외상센터의 핵심 의료진이자 리더급 의사로 등장합니다. 하지만 그의 공식적인 직책이 진료과 과장인지, 혹은 더 높은 직급인지는 드라마의 설정에 따라 조금 다를 수 있습니다.

🔹 1. 백강혁의 경력과 실력

외상외과 전문의 (일반적인 외과보다 더 심각한 외상 환자를 담당)
전쟁 지역에서 활동한 경험이 있는 천재 외과의
한국대학교병원 중증외상센터를 재건하는 중심 인물
환자를 살리는 데 모든 걸 걸지만, 병원 행정과 자주 충돌

백강혁은 단순한 과장급 의사보다는 더 큰 영향력을 가진 인물
➡ 하지만 '센터장'처럼 공식적인 행정 직책을 맡고 있지는 않은 것으로 보임

🔹 2. 대학병원에서 '과장'과 비교하면?

직급역할백강혁과 비교

과장 (Department Head) 특정 진료과를 총괄하며 교수급 의료진이 맡음 백강혁이 중증외상팀의 리더이긴 하지만, 공식적으로 '과장'인지 명확하지 않음
센터장 (Center Director) 특정 센터(예: 중증외상센터, 암센터)의 최고 책임자 현재 드라마에서 센터장 직함을 사용하지 않음
진료부원장 (Vice President for Clinical Affairs) 병원 내 전체 진료 관리, 의료 정책 수립 행정과 거리가 멀고, 환자 치료에 집중하는 백강혁과 다름
정교수 (Professor) 연구, 교육, 진료를 수행하는 대학병원 교수진 중 최고 직급 백강혁은 행정부와 마찰이 많고 연구보다는 실전에 집중하는 스타일

즉, '과장'급 이상의 실력과 리더십을 갖췄지만, 공식 직함은 과장이 아닐 가능성이 큼

🔹 3. 드라마 속에서 백강혁의 실제 직책은?

📌 과장급 역할일 가능성 높음

  • 중증외상팀을 이끌고 있는 것은 맞지만, 공식적인 과장 직책으로 등장하는지는 명확하지 않음
  • 병원 행정과 갈등하는 모습이 많아, 정식 행정 직책(센터장, 과장)보다는 리더급 전문의일 가능성이 높음

📌 센터장(센터 책임자)은 아닐 가능성이 큼

  • 센터장이면 병원 경영진과 협력해야 하는데, 백강혁은 행정부와 대립하는 모습이 많음
  • 진료와 수술에 집중하는 스타일이라 공식 행정직보다는 중증외상센터의 핵심 실력자 역할에 가깝다고 볼 수 있음

 

백강혁은 대학병원의 과장급 이상으로 영향력이 크지만, 공식적으로 과장 직함을 사용하는지는 불분명
행정보다는 외상 환자 치료에 집중하는 스타일이므로, 센터장이나 병원 경영진이 아닐 가능성이 큼
실력과 경력으로 보면 충분히 과장 이상이 될 수 있는 인물이지만, 행정보다는 의술을 우선하는 천재 외과의 역할

📢 즉, 대학병원의 공식적인 '과장'이라기보다는, 과장급 이상의 실력과 리더십을 가진 핵심 의료진으로 보는 것이 적절할 듯합니다.

 

🔹 4. 대학병원 교수진의 직급 체계

직급일반적인 승진 연차역할

조교수 (Assistant Professor) 전문의 취득 후 5~7년 강의, 연구, 진료 병행, 독립적인 연구 수행 시작
부교수 (Associate Professor) 조교수 후 5~7년 연구·교육·진료 실적을 바탕으로 승진, 연구 책임자 역할 수행
정교수 (Professor, Full Professor) 부교수 후 5~10년 해당 분야 최고 전문가로 인정, 연구팀 운영, 학회 활동 중심
과장 (Department Head) 부교수~정교수 진료과 책임자로 인사·행정·진료 총괄
진료부원장 (Vice President for Clinical Affairs) 정교수 이후 병원 내 전체 진료 운영 관리, 정책 수립
병원장 (President of the Hospital) 정교수 이후 10~15년 병원 경영 및 행정 총괄, 대외 협력 및 정책 결정

과장 이후에는 '진료부원장' 또는 '병원장'으로 승진 가능
➡ 연구 실적이 뛰어난 경우 의과대학 학장 또는 대학 총장까지 오를 수도 있음.

🔹 5. 대학병원에서 과장 이후의 승진 루트

1) 정교수 승진 (전문 분야 최고 전문가로 자리 잡기)

  • 과장은 보통 부교수 또는 정교수 직급에서 맡게 됨.
  • 연구 실적, 진료 성과 등을 더 쌓아야 정교수로 승진 가능.
  • 정교수가 되면 학회 및 연구 활동 중심으로 활동하며, 국가 의료 정책에도 영향력을 행사할 수 있음.

2) 병원 행정직으로 승진 (진료부원장 → 병원장)

  • 정교수가 된 이후, 병원의 행정직으로도 진출 가능.
  • 진료부원장이 되면 병원 전체 진료 운영을 관리하며, 경영과 정책을 담당.
  • 이후 병원장까지 승진할 경우, 대학병원의 최고 의사결정권자로서 병원 경영 및 대외 협력을 담당.

3) 의과대학 행정직 (의과대학 학장 → 대학 총장)

  • 교수로서 연구 및 교육 실적이 뛰어난 경우, 의과대학 학장으로 발탁될 수 있음.
  • 의과대학 학장은 해당 대학의 의료 교육 및 연구 방향을 총괄.
  • 이후 대학 내 승진을 통해 의대 소속 대학 총장이 되는 경우도 있음.

✅ 대학병원에서 과장 이후에는 정교수, 병원장, 학장 등의 승진 루트가 있음.
✅ 과장 → 진료부원장 → 병원장 루트는 병원의 행정 및 경영을 담당하는 길.
✅ 과장 → 정교수 → 의과대학 학장 루트는 연구 및 교육 분야에서 영향력을 행사하는 길.
✅ 승진 루트는 개인의 연구 실적, 진료 성과, 행정 능력에 따라 달라짐.

📢 즉, 대학병원에서 '과장' 이후에도 연구·진료·행정을 통해 계속 성장할 수 있으며,
경우에 따라 병원장, 학장, 심지어 대학 총장까지 승진하는 경우도 있음!

대학병원에서 과장이 되기까지의 과정은 상당히 길고 단계별 승진이 필요합니다.
일반적으로 최소 12~18년 이상의 경력이 요구됩니다.


🔹 6. 의과대학 졸업 후 기본 과정 (의사 자격 취득)

단계기간설명

의과대학 (본과 4년) 4년 고등학교 졸업 후 의과대학 진학
의사 국가고시 (MLEK) - 졸업 후 국가시험 합격 시 의사 면허 취득
인턴 과정 1년 병원에서 전반적인 의료 실습 진행
전공의 과정 (레지던트) 3~4년 선택한 전문과목에서 전문의 과정 이수

전문의 자격까지 최소 8~9년 소요

🔹 7. 대학병원 교수 승진 과정

단계기간설명

임상강사 (펠로우, 전임의) 1~3년 세부 전공(서브스페셜티) 연구 및 경험 쌓기
조교수 3~5년 대학병원에서 교수직 시작, 진료·연구·교육 병행
부교수 5~7년 연구 논문, 강의 실적, 환자 치료 성과 등을 인정받아 승진
과장(진료과 책임자) 최소 12~18년 부교수 또는 정교수가 해당 과의 책임자로 선임

과장이 되려면 최소 12~18년의 경력이 필요
(의과대학 졸업 후 16~22년 정도 소요됨)

📌 결론

최소 16~22년의 과정을 거쳐야 대학병원에서 '과장'이 될 수 있음.
✅ 과장은 보통 '부교수' 또는 '정교수' 직급에서 선임되며, 연구·교육·진료에서 뛰어난 성과를 내야 함.
✅ 일반 병원(개인 병원, 중소병원)에서는 전문의 취득 후 10년 이내에도 과장이 될 수 있으나,
대학병원에서는 연구 및 학문적 성과가 중요하므로 승진이 더 까다로움.

📢 즉, 의대 졸업 후 '과장'이 되려면 최소 16년 이상이 필요하며, 40대 초반~중반 정도에 해당 직책을 맡을 가능성이 높음.

추가로 궁금한 점 있으면 언제든 질문 주세요! 😊🏥

반응형